12월 15일 부터 달라지는 비대면 진료 총정리

기존에 시행 중이던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에서는 ‘재진’ 환자만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비대면 진료를 이용할 수 있는 환자가 많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2023년 12월 15일부터는 연령이나 지역과 무관하게 누구나 비대면 진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 될 예정 입니다.

image 6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의 구체적인 보완 내용

재진  환자만 가능했던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이 2023년 12월 15일부터 보안, 확대되어 시행될 예정입니다. 새롭게 바뀌는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보완방안‘을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비대면 진료 대상 환자의 범위 확대

기존  보완 사항
대면 진료 후 30일 이내 동일 질환 및 1년 이내 만성질환 6개월 이내 서로 다른 질환도 가능 (만성질환도 기간 통일)

 

기존 시범 사업에서 국민들이 느끼는 가장 큰 불편은 ‘재진’ 환자만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병원에서 대면 진료를 받은 후 30일 이내에 동일한 질환으로만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었기에 비대면 진료를 이용할 수 있는 환자가 많지 않았습니다.

2023년 12월 15일부터는 대면 진료 후 6개월 이내에 서로 다른 질환이어도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완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최근 6개월 이내에 ‘감기’로 대면 진료를 받은 적 있다면 의사의 판단에 따라 해당 병원에서 ‘알러지’로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비대면 초진 허용 시간 확대

기존  보완 사항
   만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 대면 진료 기록이 없는 병원에서의 비대면 진료(초진)가 가능, 약 처방 불가능      모든 연령대 –  휴일이나 야간에 대면 진료 기록이 없는 병원에서의 비대면 진료와 약 처방 가능

 

6개월 내 대면 진료 이력이 있는 병원에서는 언제든 비대면 진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대면 진료 경험이 없는 병원에서 비대면 진료를 받기 원한다면, 아래 시간대(야간, 휴일)에 이용가능 합니다.

비대면 초진 이용 가능 시간
– 평일 : 평일 저녁 6시부터 다음 날 아침 9시까지
– 토요일 : 낮 1시부터
– 일요일 및 공휴일 : 24시간 내내

 

3. 시간제한 없는 비대면 진료 허용 지역 확대

기존  보완 사항
보험료 경감 고시에 규정된 섬이나 벽지 지역 98개의 시・군・구로 대폭 확대

 

확대 된 지역들은 지역 응급 의료센터와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이며, 아래의 지역에 해당하는 분들은 시간제한 없이 비대면 진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약 배송의 경우 섬・벽지 주민과 감염병 환자 등 극히 일부에게만 허용되기 때문에 의료취약지 98개 지역에 거주하는 분이라도 약은 직접 약국에서 수령 가능합니다.

 

비대면 진료 방법

비대면 진료는 비대면 진료 앱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진료 가능한 시간을 확인하고 의사를 선택한 뒤, 진료를 예약하면 해당 시간에 의사 선생님에게 전화가 오면서 비대면 진료가 시작돼요. 병원은 내 지역과 상관없이 선택할 수 있어요. 약은 앱을 통해 약국에 처방전을 보내고, 약국에 직접 방문해 약을 수령하면 됩니다.

 

안전한 비대면진료를 위해 지켜야 할 사항​

  • 비대면 진료는 대면진료의 보조적 수단이며, 대면진료가 원칙 입니다.
  •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어려워 비대면진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의료기관을 일차적으로 선택 해야 합니다.
  •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향후 대면진료로 연계할 수 있도록 거주지 주변의 가까운 의료기관 선택 합니다.
  • 비대면진료 후 의사가 내원을 권유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 방문 진료를 해야 합니다.

image 7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